티스토리 뷰

2종 보통 운전면허는 많은 사람들이 취득하는 면허 중 하나로, 일상적인 운전을 위해 충분히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면허로 모든 차량을 운전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오늘은 2종 보통 면허로 운전할 수 없는 차량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대형 승합차 (버스)

운전 할 수 없는 이유:  
2종 보통 면허로는 10인 이상 탑승 가능한 대형 승합차량을 운전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시내버스나 관광버스와 같은 차량은 1종 대형 면허가 있어야 운전이 가능합니다.

예시: 45인승 대형 버스, 시외버스, 고속버스 등

2. 대형 화물차

 

 

운전 불가능한 이유:  
적재 중량이 3.5톤을 초과하는 대형 화물차량은 2종 보통 면허로 운전할 수 없습니다. 이와 같은 대형 차량을 운전하려면 1종 대형 면허가 필요합니다.

예시: 5톤 이상 화물차, 트레일러, 덤프트럭 등

 

3. 특수차량 (견인차, 구난차 등)

운전 할 수 없는 이유:  
견인차나 구난차 같은 특수 차량은 특수 면허가 있어야 운전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차량은 일반 차량과 다르게 특수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자격증이 필요합니다.

예시: 견인차, 구난차, 소방차 등

 

 

 

4. 125cc 이상의 이륜차

운전 불가능한 이유:  
2종 보통 면허로는 125cc를 초과하는 대형 이륜차(오토바이)를 운전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이륜차를 운전하려면 2종 소형 면허 또는 별도의 이륜차 면허가 필요합니다.

 예시: 250cc 이상의 오토바이, 대형 바이크 등

 5. 긴급자동차

운전 불가능한 이유:  
긴급자동차(구급차, 소방차, 경찰차 등)는 2종 보통 면허로 운전할 수 없습니다. 이 차량들은 응급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특수 기능과 자격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면허나 훈련이 필요합니다.

 예시: 구급차, 소방차, 특수 구조 차량 등

 

 6. 1종 대형 면허가 필요한 차량

운전 불가능한 이유:  
모든 대형 차량(적재 중량이 큰 화물차나 승합차 등)은 2종 보통 면허로는 운전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차량은 규모와 무게가 크기 때문에, 더 높은 수준의 운전 기술과 자격이 요구됩니다.

 예시: 대형 트럭, 트레일러, 대형 버스 등

결론

2종 보통 면허는 일상적인 승용차나 소형 화물차, 경차 등을 운전하는 데는 충분하지만, 더 큰 대형 차량이나 특수 차량을 운전하려면 별도의 면허가 필요합니다. 면허 취득 전 자신이 운전하고자 하는 차량이 어떤 면허로 운전 가능한지 미리 확인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