聲東擊西 성동격서 의 유래, 의미 - 한신의 이야기 聲 소리낼 성 東 동녘 동 擊 칠 격 西 서녘 서 聲東擊西(성동격서) 유래와 의미는 당나라 두우(杜佑)의 통전(通典) 속 병육(兵六)에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실제 이 사자성어(고사성어)는 성언격동(聲言擊東), 기실격서(其實擊西)의 줄여 성동격서라고 하는 것 입니다. 초(楚)와 한(漢)이 대립하던 시절에, 위왕(魏王) 표(豹)의 항복으로 한나라 유방(劉邦, BC 247∼195)은 항우(項羽)와 위왕 두 나라 모두 로부터 협공 당하게 되는 처지가되고, 매우 위급한 형세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장차 협공을 우려하여, 곤경을 벗어나기 위해 한신(韓信)을 보내어 먼저 정벌에 나섭니다. 이런 한신의 징벌 이야기가 이 고사성어의 유래입니다. 이에 위왕 표는 ..
故事成語(고사성어) 鼓腹擊壤(고복격양) 유래 , 뜻 鼓 두드릴 고 腹 배 복 擊 부딪칠 격 壤 흙 양 고복격양(鼓腹擊壤)의 유래를 알 수 있는 것은 , 십팔사략(十八史略) 제요편(帝堯篇)에는 나오는 요(堯)임금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여기에는 요(堯)임금이 천하의 주인이 되고 나서 50년 된 어느 날, 천하가 태평스러웠음에도, 스스로 백성들의 민심을 확인코자 평민들이 입는 천한 옷을 입고 시내를 돌아다니다 강구(康衢)라는 이름의 거리에 이르렀을때의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요임금은 순임금과 더불어 중국 역사에서 가장 칭송받았던 임금입니다. 고복격양 요임금은 거리에서 "우리 백성들이 이렇게 잘 사는 것은 모두 임금님의 덕분이요, 우리는 아무것도 모르지만, 임금님께서 정하신 대로 살 뿐이네" 하고 아이(童..
梁上君子(양상군자) 유래, 뜻 알아볼까요? 梁 들보 량(양) 上 위 상 君 임금 군 子 아들 자 양상군자(梁上君子) 유래 와 뜻은 후한서(後漢書)의 진식전(陳寔傳)에서 볼 수 있습니다. 후한(後漢)말 (BC 25~220)에 해당하는 동한(東漢) 시절에 하남성 태구현(太丘縣)에는 진식(陳寔)이라는 현령(縣令)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는 학식이 뛰어나며, 성품이 정직하고, 온화하며 매사를 공평정대하게 처리하여 많은 사람들로 부터 존경을 얻었습니다. 그리고, 어느해에 흉년이 들어 많은 사람들의 생활이 궁핍해졌습니다. 백성들은 초근목피로 생계를 이어갈 수 밖에 없었으며, 이런 백성의 어려움은 그를 크게 걱정하게 했습니다. 그리고 그해 어느날, 진식의 집에 도둑이 들어 와 대들보 위(양상, 梁上)에 숨어 있었습니다..
負荊請罪(부형청죄) 유래 , 뜻 알아볼까요 負 질 부 荊 가시나무 형 請 청할 청 罪 허물 죄 부형청죄(負荊請罪)는 다르게는 육단부형, 肉袒負荊 이라고도 하며 육단부형은 윗옷을 벗고 맨살 등에 태형(笞刑)에 쓰는 형장(刑杖)을 짊어지고(부형), ‘이것으로 때려 달라’고 죄(謝罪)를 청한다 (청죄) 는 뜻입니다. 부형청죄(負荊請罪) 유래와 뜻은 사기, 염파인상여(廉頗藺相如)열전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전국(戰國)시대,조나라 혜문왕(惠文王) 수하에는 인상여와 염파 훌륭한 두 인물이 있었습니다. 이 사람들의 명성은 널리 알려졌으며 강대국 진나라마저 이들로 인해 조나라를 함부로 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먼저 인상여는 본디 천한 집안 사람이었지만, 조나라와 진나라 간의 귀한 보물 화씨벽(和氏璧) 문..
좌고우면 左顧右眄 의 유래 와 뜻 左 왼 좌 顧 돌아볼 고 右 오른 우 眄 곁눈질할 면 좌고우면(左右顧眄) 유래와 뜻 알아볼까요? 어린 나이에 조조(曹操)의 사랑을 받아 건안(建安) 16년(211년)에 평원후(平原侯)에 임명됐고 19년(214년) 임치후(臨淄侯)에 임명된 위나라 당시 조조(曹操)의 세 번째 자식이었던 조식(曹植, 192-232)이 임치우(臨淄候)였던 때 조가(朝歌, 춘추(春秋) 시대 도시, 은허(殷墟))의 장관인 오계중(吳季重)에게 보냈던 편지 "여오계중서(與吳季重書)" 를 통해 좌고우면의 유래 와 뜻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계중(季重)은 오질(吳質)의 자식으로, 재능 및 학식이 뛰어났으며 위나라 진위장군(震威將軍)을 지냈고, 열후(列侯)에 임명되었던 인물입니다. 좌고우면 유래가 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