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와 "과"는 둘 다 명사 뒤에 붙는 조사로, 함께 있는 것을 나타내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상황이나 어떤 조건에서는 "와"를 쓰고, 어떤 경우에는 "과"를 써야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과"와 "와"를 선택하는 경우는 명사 뒤에 따라오는 조사의 앞 글자와의 관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 1. 명사 끝 글자가 받침이 있는 경우: 보통 "과"를 사용합니다. 예시: 귤 과 배, 책상 과 의자 2. 명사 끝 글자가 모음인 경우: 보통 "와"를 사용합니다. 예시: 사과 와 오렌지, 강아지 와 고양이 문장속 더 많은 예문을 통해 보는 두 조사의 사용법 그녀는 과일 가게에 가서 사과 와 바나나 와 포도를 샀다. 우리는 파티에 와인 과 맥주 와 소주를 준비했다. 오늘 ..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이 내는 돈과 정부의 지원금을 합쳐 (1. 다달이 / 달달이) 최대 70만원(최대 월 40만원 정부지원)씩 연리 3.5%로 저축해 10년 후 1억원을 모을 수 있는 이른바 '1억 만들기 통장'이다. 위는 국어맞춤법 및 우리말 공부를 위해 참고한 인터넷 글 중 일부입니다. 괄호 안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원문에는 '다달이'가 쓰였습니다. '달달이'는 부사 '다달이'의 비표준어입니다. 같은 의미의 말로 ‘매달’이 있는데 '다달이' '매달' 모두 표준어로 인정됩니다. 다달이 1. 하나하나의 모든 달마다. 달달이 부사 '다달이'의 비표준어. '다달이'가 쓰인 실제 예문보기 월간지를 다달이 구독하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지난 6월 100.7까지 올라갔다가 지난달엔 99.7을 기록하며 1..
임지연은 28일 자신의 SNS에 "(이쁘다/예쁘다) 박연진"이라는 글을 적었다. 공개된 사진 속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글로리' 모니터가 담겨있다. 위는 국어맞춤법 및 우리말 연습을 위해 참고한 인터넷 글 중 일부입니다.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원문에는 '이쁘다'가 쓰였습니다. 이쁘다’, ‘예쁘다’ 둘 다 맞습니다. 과거 ‘이쁘다’는 본래 ‘예쁘다’의 비표준어였으나 2015년 12월 국립국어원에서 표준어로 인정하였습니다. 1. 생긴 모양이 아름다워 눈으로 보기에 좋다. 2. 행동이나 동작이 보기에 사랑스럽거나 귀엽다. 3. 아이가 말을 잘 듣거나 행동이 발라서 흐뭇하다. 이쁘다, 예쁘다 예문보기 보는 내내 "예쁘다"는 말이 절로 나올 두 사람의 로맨스 케미가 글로벌 인기를 얻을..
특히 양준혁은 "찰밥이 진짜 (1. 찰지다 / 2. 차지다)"라고 말하며 박현선에게 찰밥을 건넸다. 이를 본 허영만은 "나는 먹여 주지마"라고 말한 뒤 "아휴 뭐 얼마나 좋아. 이 찰밥만큼 둘이 서로 매력을 느끼고 있겠지"라고 얘기했다. 위는 국어맟춤법 및 우리말 연습을 위해 참고한 인터넷 글 중 일부입니다. 괄호에 들어갈 올바른 우리말 표기는 무엇일까요? 원문에는 '찰지다'가 쓰였습니다. 국립국어원은 2015년 표준어 추가 결과를 발표했는데 그 동안는 비표준어로 써야 했던, '이쁘다' ‘마실’ ‘찰지다’ ‘-고프다’ 4항목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차지다’와 ‘찰지다’ 둘 다 맞습니다. ‘찰지다’은 ‘차지다’의 방언이었으나 2015년 12월 국립국어원에서 ‘차지다’의 원래 말로 보고 ..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쌍동이/쌍둥이)가 9쌍이나 다니는 학교가 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엘 몬티 시의 멀핼 초등학교엔 부속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2학년까지 무려 9쌍이나 있다. 위는 국어맟춤법 및 우리말 연습을 위해 인용한 인터넷 기사글 중 일부입니다.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원문에는 '쌍동이'이가 쓰였습니다. 정답은 '쌍둥이'입니다. '-둥이'는 본래 '童'에 '-이'가 붙은 '-동이'이며 '아이'를 가리키는 말이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동이'가 변한 '-둥이'가 굳어져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이것은 표준어 규정 제8항은 ‘쌍둥이’와 같이 어원에서 멀어져 ‘ㅏ,ㅗ’ 같은 양성 모음이 ‘ㅓ, ㅜ’ 같은 음성 모음으로 바껴 굳어진 경우 음성 모음을 표준어로 삼도록 하고 있습니다. 1...
코미디 연기를 할 때는 사슴이 ( 1. 깡총깡총/깡충깡충) 뛰는 이미지를 연상해서 대사를 내뱉는 속도나 행동에 그런 이미지를 입히는 것이다. 최도하는 최대한 느릿느릿한 이미지로 보여주려고 했다. 위는 국어맞춤법 및 우리말 연습을 위해 인용한 인터넷 문장 중 일부입니다.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원문에는 '깡총깡총'이 쓰였습니다. '깡충깡충’이 바른 우리말 표기입니다. 표준어 규정 제8항에 따라 양성 모음이 음성 모음으로 바뀌어 굳어진 단어인 경우 음성 모음 형태를 표준어로 합니다. 양성 모음에는 'ㅏ, ㅗ, ㅑ, ㅛ, ㅘ, ㅚ, ㅐ'이 있고 음성 모음에는 'ㅓ, ㅜ, ㅕ, ㅠ, ㅔ, ㅝ, ㅟ, ㅖ'와 같은 모음이 있습니다. 1. 부사 짧은 다리를 모으고 자꾸 힘 있게 솟구쳐 뛰는 모양. ..
평소에 멀미 증상이 심하다면, 한방에도 속이 ( 미식거리는/메슥거리는) 구토, 설사 증상을 처방하는 시럽약이 있으니, 증상과 체질에 맞게 미리 준비하도록 한다. 위는 국어맞춤법 및 우리말 연습을 위해 인용한 인터넷 기사 중 일부입니다.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본래 문장에는 '미식거리는'이 쓰였습니다. ‘메슥거리다’가 맞습니다. 표준어 규정 2장 4절 17항에 따라 ‘메슥거리다’의 의미로 ‘메식거리다’가 쓰이는 경우가 있지만 ‘메슥거리다’만 표준어로 인정합니다. 1. [동사] 먹은 것이 되넘어 올 것같이 속이 자꾸 심하게 울렁거리다. 예문보기 장비를 챙기고, 고소증세로 메슥거리는 뱃속으로 알파미를 밀어 넣었다. 가슴 콩콩, 속 메슥.. 와이파이 증후군은 실재? '정조국♥'김성은, 백신 2..
이경규는 "막판에 약간 (마구잽이/ 마구잡이) 아닙니까?"라고 물었다. 그 다음으로 알덴테로 적당히 익은 파스타 면을 졸이기 시작한 이정현. 맛을 한번 보고서는 "대박 맛있어" 위는 국어맞춤법 및 우리말 연습을 위해 인용한 인터넷 글입니다. 괄호에 들어갈 규범표기는 무엇일까요? 원래 문장에는 '마구잽이'가 쓰였습니다. ‘마구잡이’가 규범표기이며 ‘마구잽이(X)’는 잘못된 표기입니다. 잘못된 표기 또는 발음은 ‘이’ 모음의 영향이로고 볼 수 있습니다. 표기 또는 발음시 유의하여야 하겠습니다. 예문보기 국토부, 하위기관 LH에 23명 차출…"마구잡이 차출" 지적 전문가? 멘토?… 표기법 통일 안 돼 마구잡이 사용[모두에게 통하는 우리말] 서부내륙고속도로 평택구간 '마구잡이 공사' 농민들 분통 [메트로24시]..
김준현은 옆에서 낚시하고 있는 박광재에게 "광재야, 저것이 우리의 미래다"고 (나직히/나직이) 말해 폭소를 이어갔다. (채널A '나만 믿고 따라와 도시어부3') 위는 국어맞춤법 및 우리말 연습을 위해 인용한 기사 글 중 일부입니다.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원문에는 '나직히'가 쓰였습니다. 표준어는 바로 '나직이'입니다. '나직히'는 경기, 경북 방언으로 비 표준어입니다. 부사화 접미사 '이'와 '히'를 구분할 때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이'로 적도록 하고 있으며, 1차적인 기준으로 'ㄱ' 받침 뒤 인 경우 '이'를 접미사로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예문보기 '더 케이투' "무슨 개수작이야" 송윤아, 이정진에 나직이 분노 “나직이 흥얼대던 ‘애잔한’ 노랫가락으로 어..
올레tv 오리지널 드라마 '가우스전자' 원작자 곽백수가 전하는 응원 ( 메세지 / 메시지 )를 공개했다. 축전 포스터로... 이어 곽백수 작가는 서면 인터뷰를 통해..... 위는 국어맞춤법 및 우리말 연습을 위해 인용한 인터넷 글 중 일부입니다.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어떤 것 일까요? 원문에는 '메세지'가 쓰였습니다. '외래어 표기법' 제2장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와 제3장 표기 세칙, 제1절 영어의 표기에 따라 규범표기인 '메시지'와 같이 표기합니다. 또한 '메쎄지, 메시쥐'도 잘못 된 표기입니다. 1 어떤 사실을 알리거나 주장하거나 경고하기 위하여 보내는 전언(傳言). 2 문예 작품이 담고 있는 교훈이나 의도. 3 언어나 기호에 의하여 전달되는 정보 내용. 예문보기 미래 준비 나선 구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