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JGfbI/btq9pDP8a74/CJoN0rpq3XCrfwEIcITZZK/img.png)
"특히 이날 대결을 펼칠 노래가 밝혀지자 부승관이 "면이 (1. 불기/붇기)도 전에 먹여드릴 수 있다"고 성공을 호언장담을 해 과연 'K-POP 부교수'의 명성에 걸맞은 활약을 보여줄지 궁금증을 모은다. "" 위는 국어맞춤법 및 우리말 연습을 위한 실제 신문 기사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이 문장에서 기자는 괄호에 '불기'라는 말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과연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많은 사람들이 '불기'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정답은 '붇기'입니다. 왜 그럴까요? 먼저, '붇기'의 기본형은 '붇다'로 그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물에 젖어서 부피가 커지다. 2. 분량이나 수효가 많아지다. 3. 살이 찌다. 다음으로 활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붇다'는 자음 어미 앞에서는 '붇-' 모음 어미 앞에서는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UUeqm/btq9f50hkWP/jUcwypmgvgtJO55ZzeXpa1/img.png)
"한편 전날 이 회장도 브리핑에서 "(HMM 주식을) 팔기 시작하면, 일부만 아니면 (1. 통채/통째)로 팔 거냐, 이 참에 완전히 민간에 매각할 거냐, 여러 고려요소가 있다"면서....." 위는 국어맞춤법 및 우리말 연습을 위해 가져온 어느 기자가 쓴 실제 기사 중 일부입니다. 괄호에 들어갈 바른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기사 원문에서 기자는 '통채'를 쓰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정답을 알아 볼까요? 정답은 바로'나누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덩어리로.'라는 의미의 '통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통채’로 발음하고 발음대로 쓰지만 ‘통채’는 강원과 전남 방언에서 흔히 쓰이는 형태로 비표준어입니다 (표준어 규정 2장 4절 17항). 그러나 심지어 전문적으로 글을 쓰는 기자마저도 틀리는 우리말이었습니다.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vblVm/btq89usbI2C/OMa8YeAltJku7HKsgXlhWk/img.png)
장혁은 이날 녹화에서 "전지현의 고자질 때문에 대학교 때 소개팅이 (1. 파토/파투)난 적이 있었다"고 밝혀 궁금증을 자아내게 했다. 이에 MC 강호동은 "아무리 예쁘고 연기 잘하면 뭐 하나. 입이 가벼운데"라며... 위는 국어맞춤법 및 우리말 연습을 위해 인용한 어는 기자가 쓴 실제 기사 내용 중 일부입니다. '파투'와 '파토'는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 우리말입니다.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먼저, 파토(破土)는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명사] 무덤을 만들기 위하여 풀을 베고 땅을 팜. 한편, 파투(破鬪)는 다음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화투 놀이에서, 잘못되어 판이 무효가 됨. 또는 그렇게 되게 함. 장수가 부족하거나 순서가 뒤바뀔 경우에 일어난다. 2. 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ZUJnH/btq8W6yUu8R/LjgGMeY0e9kxFCUnnzmIW1/img.png)
"다만 로스트 루인즈는 전체적인 볼륨이 짧은데 이를 압축해서 (1. 우겨넣다/욱여넣다)보니 상당히 이른 시점부터 플레이가 급격히 바뀌는 구간이 찾아왔다. 그래서 더욱 짧다는 느낌이 들었다. " 위는 국어맞춤법 및 우리말 연습을 위해 인용한 어느 기자의 실제 기사 내용 중 일부를 인용한 것 입니다.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기사 원문에서 기자는 '우겨넣다'를 쓰고 있습니다. 먼저, 욱여넣다 는 '욱-여(-이_어)+넣_다'와 같이 풀어 쓸 수 있습니다. 다시말해 '욱여넣다'는 '욱이(다)어' 에 ' 넣다'를 합친 것 입니다. 그렇다면 '욱이다'의 뜻은 무엇일까요? 1. 안쪽으로 조금 우그러지게 하다. ‘욱다’의 사동사. 다음으로 '욱여넣다'의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사람이 물건을 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9RNWy/btq8GRbesNH/4KtntzIquGKD9QS06p3WOK/img.png)
"이 장비의 특징은 타깃된 제품을 균일하게 공급함과 동시에 균일하게 배출이 가능하다는 점이고, 비정형적인 금속 (1. 제질/재질) 검사를 위해 정밀한 기구로 구성했다." 위는 국어맞춤법 및 우리말 연습을 위해 가져온 어느 기자가 쓴 실제 기사 내용 중 일부입니다. 재질 과 제질은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먼저, 재질(材質)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재기(材器)와 성질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재료가 가지는 성질. 3. 목재가 가지는 성질. 또한 재질(才質) '재주와 기질을 아울러 이르는 말.'입니다. 한편 '躋秩(제질)'은 거의 쓰이지 않는 말로 '등급을 뛰어 올림.'을 뜻합니다. 그러므로,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재질'이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nLGhX/btq8F6sd7o9/V5Fnu5AUpJDT08u5KPG0n1/img.png)
"남의 옷을 입을 때 전해지는 어떤 헐거움 같은 격려의 말을 서로에게 건네는 것도 (1. 계면쩍다/겸연쩍다). 상대나 나나 그 말 값을 후하게 쳐주지 않는다. 앉아서 즐길 처지가 아니라 서서 애써야 하는 처지라면 더욱 그렇다." 위는 국어맞춤법 및 우리말 연습을 위해 가져온 실제 기자가 쓴 기사 중 일부입니다.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원 기사에서 기자는 '계면쩍다'를 쓰고 있습니다. 먼저, 괄호에 들어갈 표현의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무엇이) 쑥스럽거나 미안하여 부끄럽고 어색하다. 그렇다면, 정답은 무엇일까요? 먼저, 정답은 둘 다 가능하다 입니다. ‘계면쩍다’는 ‘겸연(歉然)쩍다’의 음운변화에 의해 생긴 말입니다. 현재 모두 표준어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 예문보기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Ncr3f/btq8v1dc52y/ehEWijkeXUVko9xN7ZPGOk/img.png)
"카카오의 무서운 성장 동력엔 전방위적 사업확장 말고도, 소액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온 주가도 (1. 한목/한몫)했다. 3년 전 액면분할했던 네이버가 다시 소액주주 늘리기에 나설지 주목된다." 위는 국어맞춤법 및 우리말 연습을 위해 가져온 실제 기자가 쓴 기사 내용 중 일부입니다. '한목' 과 '한몫' 은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먼저, '한몫'은 다음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한 사람 앞에 돌아가는 배분. 2. 한 사람에게 부여된 역할이나 임무. 다음으로, '한목'은 다음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한꺼번에 몰아서 함을 나타내는 말. 그러므로, '카카오의 성장'에 '주가'가 '역할'을 했다는 뜻이므로 괄호에 들어갈 문맥에 어울리는 우..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PqRjf/btq8nuMox5r/IDFBzfpXRlE6T2r6o41Mw1/img.png)
"누군 누구야 도깨비지! - 메밀묵이라면 (1. 사죽/사족) 못 쓰는 도깨비들은, 사람들하고 친하게 지내고 싶지만 아무도 자기를 알아주지 않아 신경질이 나서 짓궂은 장난을 일삼던 친구들이다." 위는 국어맞춤법 및 우리말연습을 위해 가져온 실제 기자가 쓴 기사 내용 중 일부입니다. '사죽'과 '사족'은 서로 의미가 다릅니다. 그렇다면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먼저, 사족은 아래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족(蛇足) 1. 뱀을 다 그리고 나서 있지도 아니한 발을 덧붙여 그려 넣는다는 뜻으로, 쓸데없는 군짓을 하여 도리어 잘못되게 함을 이르는 말. 사족(四足) 1. 짐승의 네발. 또는 네발 가진 짐승. 2. ‘사지’를 속되게 이르는 말. 한편, 사죽(斜竹)은 아래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1edqd/btq8btuVDYQ/c27nktl3xMQHbUSHugKYg1/img.png)
"그러나 백스윙이 크고 길어야 임팩트에서 강한 힘을 만든다는 그릇된 상식의 대부분은 몸이 (1. 외소/왜소) 하거나 특히 여성들에게 흔히 볼 수 있는 광경들이다." 위는 우리말 연습 및 맞춤법 연습을 위해 가져온 실제 어는 기자가 쓴 기사 중 일부를 인용한 것입니다. 외소 와 왜소는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먼저, 외소(外所)는 다음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명사] 서울 이외의 지방. 정보 통신부 산하에 있었다. 한편, 왜소(矮小)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기본의미 (사물이나 그 크기, 규모가) 초라할 만큼 작다. 2. (행동이나 태도가) 활달하지 못하고 위축되어 초라하다. 그러므로, 괄호에 들어갈 문맥에 맞는 바른 우리말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1gLk/btq74pr4Y1Q/RyFWkrE4pbD3HMmbzIB6W0/img.png)
"의원 질의 답변하는 은성수 금융위원장 - 22일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 (1. 전채/전체)회의에서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의원들의 질의에 대답하고 있다. " 위는 국어맞춤법 및 우리말 연습을 위해 가져온 실제 기자가 쓴 기사 내용 중 일부입니다. '전체' 와 '전채'는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괄호에 들어갈 문맥에 맞는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먼저, 전채(前菜)는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서양 요리에서, 식욕을 돋우기 위하여 식사 전에 나오는 간단한 요리. 또는 술안주로 먹는 간단한 요리. - [유의어] 애피타이저, 오르되브르 한편, 전체(全體)는 다음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개개 또는 부분의 집합으로 구성된 것을 몰아서 하나의 대상으로 삼는 경우에 바로 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