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싯적 영화배우를 꿈꾸던 영화광 아버지와 ~~~~~~ 된 아내까지, 그의 지원군은 늘 그 자리에서 묵묵한 응원을 보내줬다. “아버지는 영화를 수천 편 ~~~~~~ 영화를 사랑하는 분이다. 제가 봉준호 감독님..." "소시적에 글 줄 깨나 읽은 ~~~~~ 그는 어느날, 그림 한 점을 조우, 그 그림 속에서 깊이를 알 수없는 바다를 발견하고 그 심연 속으로 빠져들었다. " 위 둘은 서로 다른 신문사의 기사입니다. 그러나 같은 의미의 표현을 다르게 표기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심지어 기사를 쓰는 기자마저도 국어 맞춤법 오류를 범하고 있습니다. 바른 표현은 무엇일까요? 바른 표현은 소싯적으로 표준어입니다. 소시적은 강원의 방언입니다. 소싯적은 젊었을 때, 나이가 어렸을 때를 말 합니다. 예문보기 나도 소싯적에는..
"취업자들은 과도한 업무에 시달리며 (아둥바둥) 바쁘게 ~~을 이어가고, 일자리를 구하는 사람들은... " 우리 는 효율과 경제성을 중요하게 ~~하는 세상에서, "효과적인 결과를 내기 위해 스스로를 과도하게 (아등바등)하 는..." 위는 어느 신문기사의 일부입니다. 하는 글 안에 같은 표현을 다르게 표기하고 있습니다. 어느게 바른 표기일 까요? 국어 맞춤법에 따른 바른 표기는 표준어 아등바등입니다. 아둥바둥은 전남지역 방언이며 비표준어입니다. 아등바등은 '무엇을 이루려고 애를 쓰거나 우겨 대는 모양' 또는 '억지스럽게 우기거나 몹시 애를 쓰는 모양 '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예문보기 귀여운 북극곰 머리가 끼어 아등바등 하고 있다. 한 여사는 남편을 잃은 뒤 하나 있는 자식을 잘 기르기 위해 아둥바둥* 살아..
귀뜸, 뀌띔 올바른 표현은, 예문 평소 직장인들이 많이 찾는 설렁탕집이어서 점심 시간에는 길게 줄을 서는 모습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아침에 줄을 서는 것은 상당히 이례적이다. 종업원 역시 "중국인 관광객이 크게 늘었다"고 (귀띔/귀뜸)했다. 실제 가게 안에는 중국인 관광객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위는 신문기사에서 발췌한 내용의 일부입니다. 위 문장속에서 귀뜸,귀띔 중 어떤 것이 올바른 국어 맞춤법 표기일까요? 그 답은 바로 귀띔입니다. 귀뜸은 자연스럽게 들리자만, 바르지 않은, 국어 사전에 없는 표현입니다. 오늘은 예문과 함께 이 표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귀띔'은 명사로 상대편이 눈치로 알아차릴 수 있도록 미리 슬그머니 일깨워 주는 것 을 말합니다. ‘귀뜸’을 쓰는 경우가 종종..
잊다, 잃다 차이점, 예문 기내 방송이나 식당등에서 흔히 듣는 안내 중에 "잊으신 물건 없이 안녕히 가십시오."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게 표기한 것 일까요, 아니면 '잃으신" 이라고 해야 할까요? 오늘이 두 표기법에 대 자세히, 예문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동사 '잊다' 의 국어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한번 알았던 것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기억해 내지 못하다. 2. 기억해 두어야 할 것을 한순간 미처 생각하여 내지 못하다. 3. 일하거나 살아가는 데 장애가 되는 어려움이나 고통, 또는 좋지 않은 지난 일을 마음속에 두지 않거나 신경 쓰지 않다. 4. 본분, 은혜를 저버리다. 다음으로 동사 '잃다'의 국어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가졌던 물건이 자신도 모르게 없어져 그것을 갖지 아..
금세, 금새 차이점, 역사, 예문보기 '얼마 되지 않는 짧은 시간 안에’를 의미하는 ‘금세’는 본래 ‘금시’(今時)와 조사 ‘에’가 결합된 ‘금시에’가 줄어든 형태입니다. 따라서 이 말의 본래 의미는 ‘지금’ 혹은 ‘현재’를 나타냅니다. 현대 국어에서 ‘금시에’를 ‘금새’로 잘못 쓰는 일이 많은데 이는 한편으로 ‘애’와 ‘에’의 발음이 혼동 돼 나타난 현상이거나 다른 한편으로 ‘금세’의 ‘세’를 ‘어느새’의 ‘새’와 같이 ‘사이’[隔]가 줄어든 말로 잘못 인식한 것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본말‘금시에’의 형태를 염두에 두면, ‘금세’의 형태를 기억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반면에 금새는 명사로 물건의 값. 또는 물건값의 비싸고 싼 정도 를 말합니다. ‘금세’의 의미로 ‘금새’를 쓰는 경우가..
뵈요, 봬요 올바른 국어맞춤법 표기와 이유는? 언제 만날까? 그럼, 내일 뵈요 vs. 그럼, 내일 봬요. 어는게 맞는 표현일까요? 평소 직장에서 퇴근하거나, 헤어질 때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인사말이기도 합니다. 우리가 문자를 보내거나 카톡을 할 때 어느 표기법이 올바른지 모르고 쓰는 대표적인 틀리기 쉬운 맞춤법 예 들 중 하는 하나입니다. 이런 혼란이 생기는 이유는 바로 기본형 '뵈다' 가 있고, 이 '뵈다'를 '뵈요'로 잘못 활용하여 쓰기 때문입니다. '그분을 뵈면 돌아가신 아버님이 생각난다.' 에서 와 같이 ‘뵈다’는 웃어른을 대하여 보다는 뜻입니다. 더 겸양의 뜻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뵙다’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뵈다’ 는 ‘보이다’의 준말로 ‘뵈어(봬)’, ‘뵈니’ 등으로 활용됩니다. 즉 ‘..
되 와 돼 차이점 구분하기, 예문 오늘의 국어맞춤법 공부입니다, 되 와 돼 너무나 헷갈립니다. 이 둘을 제대로 구분하고 쓰는 사람들이 과연 몇 이나 될까요? '너 내일 시간되니?' , '너 내일 시간돼니?' 둘 중 어는 것이 옳은 표기일까요? '되' 와 '돼'는 우리가 너무나 자주 쓰는 말들인데도 확실한 차이를 굳이 알려고 하지 않고 생각나는 대로, 기분에 따라 즉흥적으로 쓰고 있지는 않나요? 오늘은 이 두 가지 표기의 차이점을 예문과 함께 이해하고 구분해 보겠습니다. 되 와 돼 차이점 구분 먼저, 용언(동사, 형용사)의 어간이 홀로 쓰일 수는 없습니다 다시 말해, 되-’는 ‘되다’의 어간인데 어간 ‘되-’가 홀로 쓰이는 경우는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홀로 쓰일 때는 "돼"라고 표기해야 합니다. 다음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