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커로 변신한 규현이 '거 장난이 너무 심한거 (1. 아니오/아니요)'란 명대사를 맞히지 못해 왕갈비통닭 획득에 실패했다.... 위는 국어맞춤법 연습을 위해 인용한 실제 인터넷 기사 내용 중 일부입니다.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비슷해서 많은 사람들이 실수하는 대표적인 경우입니다. '아니오'나 '아니요'는 둘 다 표준어이지만 ,이 둘을 써야 할 때가 따로 있습니다. 먼저, '아니요'는 윗사람이 묻는 말에 부정하여 대답할 때 쓰는 말로 ‘예’에 대응되는 말입니다. 한편, '아니오'는 형용사 '아니다'의 어간 '아니-' 뒤에 어미 '-오'가 붙은 활용형으로 한 문장의 서술어로만 쓰이는 감탄사입니다. 그러므로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아니오'입니다. 그러면, 예문을 보겠습니다. 나는 그의..
공동체 신뢰 (1. 제고)의 원리 - 이러한 시간을 통해 서로를 알게 되고 지도자를 개인적으로 만남으로 공동의 목표를 강화하며 전략을 (2. 재고)하게 된다. 위는 국어맞춤법 연습을 위해 인용한 실제 신문기사 타이틀과 내용 중 일부입니다. 위 내용 중 괄호1, 2번 에 들어간 우리말은 바르게 쓰이고 있을까요? '제고'와 '재고'는 사용하는 경우가 다릅니다. 먼저, 먼저 재고는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재고1(在庫) 1. 창고 따위에 쌓여 있음. 2. 창고에 있는 물건. 3. 새로 만든 것이 아니고 전에 만들어 아직 상점에 내놓지 아니하였거나, 팔다가 남아서 창고에 쌓아 놓은 물건. 재고2(再顧) 1. 다시 되돌아봄. 2. '미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한편, 제고(提高)는 '수준이나 정도..
‘다큐공감’ 제주 성산읍 삼달리 해녀 할머니들의 겨울나기 - 여섯 아이 키우고 (1.여의다/여위다) 보니 어느새 할아버지가 돼 있더라는 채금혁씨. 위는 국어맞춤법공부를 위해 실제 인터넷 신문 기사 내용을 인용한 것입니다.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 표현은 무엇일까요? 실제 기사에서는 '여의다'를 쓰고 있습니다. 먼저, '여의다'는 '1. 부모나 사랑하는 사람이 죽어서 이별하다. 2. 딸을 시집보내다. 3. 멀리 떠나보내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편, '여위다'는 1. 몸의 살이 빠져 파리하게 되다. 2. 살림살이가 매우 가난하고 구차하게 되다. 3. 빛이나 소리 따위가 점점 작아지거나 어렴풋해지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여섯아이를 키우고 어느새 할아버지가 돼 있더라'는 말에..
"턱이 있는 인도로 그대로 튀어 오른 차량 오른쪽 부분의 파손 정도가 더 심했다. 이 때문에 볼라드에 대한 우려를 표한 누리꾼들은 제작 업체나 지자체에 의심의 (1. 눈꼬리/눈초리)도 보내고 있다." 위는 국어맞춤법 연습을 위해 인용한 실제 인터넷 기사 내용 중 일부입니다.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두 표현은 서로 비슷해보이지만 쓰임이 다릅니다. 먼저, 눈초리는 '1.어떤 대상을 바라볼 때 눈에 나타나는 표정. 2.귀 쪽으로 가늘게 좁혀진 눈의 가장자리.'를 의미합니다. 한편, 눈꼬리는 '1. 귀 쪽으로 가늘게 좁혀진 눈의 가장자리.'를 의미합니다. '눈꼬리'는 본래 ‘눈초리’의 비표준어였으나 2011년 국립국어원에서 ‘눈초리’의 ‘귀 쪽으로 가늘게 째진 눈의 구석.’과 동일한 뜻으로 널..
"그는 어렸을 때 농장에서 덩치 큰 돼지를 (1. 곯리다/골리다) 화가 난 돼지에게 쫓겨 넘어지면서 왼팔을 다친 것으로 알려졌다." 위는 국어맞춤법 연습을 위해 인용한 실제 인터넷 기사 내용 중 일부입니다. '골리다'와 '곯리다'는 사용하는 경우가 다릅니다. 문맥에 맞는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먼저 '곯리다'는 아래와 같이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담긴 것이 그릇에 가득 차지 아니하고 조금 비게 하다. ‘곯다’의 사동사. 2. 한 부분이 옹골차지 아니하고 폭 꺼지게 하다. ‘곯다’의 사동사. 3. 속이 물크러져 상하게 하다. ‘곯다’의 사동사. 4. (비유적으로) 은근히 해를 입혀 골병이 들게 하다. ‘곯다’의 사동사. 5.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의 배를) 양(量)이 차지 않게 먹이거나..
"국내와 동시기 개봉하는 아시아 주요국들을 시작으로 전 세계 관객들을 순차적으로 만날 예정"이라며 "'반도'가 대한민국을 (넘어/너머) 세계 영화계에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위는 국어맞춤법 연습을 위해 인용한 실제 인터넷 기사 중 일부입니다.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비슷해 보여 혼동하기 쉽지만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먼저, 너머는 '높이나 경계로 가로막은 사물의 저쪽. 또는 그 공간.'을 의미합니다. 한편, 넘어는 넘다의 활용형으로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동사 일정한 시간, 시기, 범위 따위에서 벗어나 지나다. 2. 동사 높은 부분의 위를 지나가다. 3. 동사 경계를 건너 지나다. 이렇게 너머는 정적인 공간을, 넘어는 동적인 움..
"정씨는 이사장직에서 물러난 뒤에도 학교 일에 (1.간여/관여)하며 채용 과정에서 공정성이나 신뢰 없이 다른 지원자의 기회를 제한했다" 위는 국어맞춤법 연습을 위해 인용한 실제 인터넷 기사내용입니다.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관여'와 '간여'는 사용하는 경우가 다릅니다. 정답과 차이점을 예문과 함께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관여(關與)는 '어떤 일에 관계하여 참여함.'을 의미합니다. 한편, 간여(關與)는 '어떤 일에 간섭하여 참여함.'을 뜻합니다. 즉 '간여'에는 '관여'와 '참견'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문맥상 정답은 '간여'입니다. 예문보기 정씨는 이사장직에서 물러난 뒤에도 학교 일에 간여하며 채용 과정에서 다른 지원자의 기회를 제한했다. 군인들이 민간인 일에는..
"추풍령급수탑공원, 장미꽃 활짝 - 4만3250㎡ 면적에 형형색색의 장미들이 (꽃봉우리/꽃봉오리)를 터트리며 향긋한 꽃내음과 우아한 자태를 뽐내고 있다." 위는 국어맞춤법 연습을 위해 인용한 실제 인터넷 기사 중 일부입니다.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실제 기사에서는 심지어 기자임에도 문맥에 맞지 않는 우리말을 쓰고 있습니다. 먼저, 봉우리는 '1. 산에서 뾰족하게 높이 솟은 부분. 2. (물리) 물리 실험을 토대로 하여 그려진 그래프에서 발생 횟수나 에너지가 가장 높은 지점'을 뜻합니다. 한편, 봉오리는 '망울만 맺히고 아직 피지 아니한 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문맥에 맞는 정답은 "꽃봉오리'가 됩니다. 예문보기 산의 제일 높은 봉우리에 오르다. 한라산 봉우리에 묵은 솜같이 우중충한..
"우리나라 경부고속도로에 해당하는 E4고속도로는 텅 비어 있었고 물류 이동 목적의 트럭만 고속도로를 (간간히/간간이) 달리고 있는 모습이었다. 32년 동안 스웨덴에서 살면서 처음 목격하는 광경이었다." 위 문장은 국어맞춤법 연습을 위해 인용한 실제 인터넷 신문기사 내용 중 일부입니다.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실제 기자가 선택한 우리말은 올바르지 않았습니다. 두 우리말의 차이점과 정답을 예문과 함께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간간이(間間이)는 '1. 시간적인 사이를 두고서 가끔씩. 2. 공간적인 거리를 두고 듬성듬성.'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편 '간간히'는 아래와 같이 다양한 의미를 가진 우리말입니다. 1. 상황이나 행동이 심심하지 않을 정도로 아기자기하고 재미있게. 2...
'코로나 (1. 핑계)'…경총, 상속세 인하 등 요구 - 코로나19를 (2. 빌미)삼아 재계의 ‘숙원사업’을 해결하려는 것 아니냐는 평가가 뒤따른다. 위는 국어맞춤법 연습을 위해 인용한 실제 인터넷 기사 내용 중 일부입니다. 괄호에 1, 2에 들어간 우리말은 바르게 쓰이고 있을까요? 이 둘의 차이점 및 정답을 예문과 함께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빌미'는 '재앙이나 탈 따위가 생기는 원인'을 의미하는 우리말입니다. 한편, '핑계'는 '1. 내키지 아니하는 사태를 피하거나 사실을 감추려고 방패막이가 되는 다른 일을 내세움. 2. 잘못한 일에 대하여 이리저리 돌려 말하는 구차한 변명.'등을 뜻하는 우리말입니다. 그러므로 위 기사 중 2번에는 1번과 마찬가지로 내키지 아니하는 사태를 피하거나 사실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