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전조증상과 예방법은? - 보내기 바쁜 업무 탓에 간단하게 끼니를 (1. 떼우다/때우다) 보니 달고 짠 음식을 자주 먹게 됐고, 크고 작은 두통에도 신경 쓰지 못했다. 그런데 오늘 집을 나설 때 갑자기 눈앞이 흐려질 정도로 어지럼증이 나타나 놀라 병원을..." 위는 어느 신문기사에 발췌한 내용으로 전문 기자가 쓴 글임에도 국어맞춤법 오류가 있습니다. 바른 표현은 무엇일까요? 정답은 '때우다'입니다. 오류의 이유는 '에' 와 '애' 발음의 유사성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때우다'는 다양한 의미를 가진 우리말로 예문과 함께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때우다는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뚫리거나 깨진 곳을 다른 조각으로 대어 막다. 2. 간단한 음식으로 끼니를 대신하다. 3. 다른 수단을..
귀촌 - 오랜 도시생활에 (1. 찌들다/찌들리다) 보니 가정에 소홀했다는 죄책감만 쌓여갔다. “시골에 가서 농사나 지으며 삽시다.” 고민을 눈치챈 아내(51)의 한마디에 김 씨는 귀촌을 결심했다. 위는 어는 인터넷 신문기사의 일부입니다. 기사 중에 괄호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둘 다 자연스러워 보이지만 정답은 '찌들다'입니다. 그렇다면 그 이유를 예문과 함께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찌들다'는 '1. 물건이나 공기 따위에 때나 기름이 들러붙어 몹시 더러워지다. 2. 좋지 못한 상황에 오랫동안 처하여 그 상황에 몹시 익숙해지다. 3. (사람이) 무엇에 중독되어 몸이 상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찌들다'의 활용형으로 찌든 , 찌드니, 찌듭니다 등이 있습니다. '찌들..
"한들주차장 조성사업 부지서 (1. 유물/유적) 발굴 - 특히 주로 청동기시대 유구에서 대량 출토돼 남강 수계 상류 역인 함양지역의 청동기 시대 생활상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함양 읍내에 청동기 시대 (2. 유적/유물)이 처음으로 정밀발굴조사 되면서..." 위는 어는 인터넷 신문기사에서 발췌한 내용의 일부입니다. 위 기사에서 괄호1, 2번에 들어갈 자연스러운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1번은 유물, 2번은 유적이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왜 그런지, 두 표현의 차이점을 예문과 함께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유물(遺物)은 '1. 선대의 인류가 후대에 남긴 물건. 2. [같은 말] 유품2(고인(故人)이 생전에 사용하다 남긴 물건). 3. 예전에 통용되던 제도나 이념 따위가 이미 그 ..
"프랑스 시골길, 수녀원에서 운영하는 숙소에 (1. 묵다/묶다) - 수녀들이 구제한 수도원생 콤 돌트에는 수녀원에서 운영하는 아주 멋진 숙소가 있다. 르 퓌 길에서 보기 드문 현대식인데다 새롭게 정비를 마쳐 아주 깨끗했다..." 위는 인터넷판 한 신문기사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위 기사 중 괄호안에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쉬운듯 하면서도 종종 실수하는 우리말입니다. 정답은 '묵다'입니다. 그러면 이 두 우리말의 차이점을 예문과 함께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묶다는 동사로 '1. 끈, 줄 따위를 매듭으로 만들다. 2. 법령 따위로 금지하거나 제한하다. 3. 사람이나 물건을 기둥, 나무 따위에 붙들어 매다.'라는 의미를가지고 있습니다. 한편 '묵다'는 동사로 '1. 일정한 때를 지나서 오래된 상태가..
"음식쓰레기가 ‘황금 알’을 (1. 낳다/낫다) - 이 회장은 “생산 사료를 t당 10만 원에 대만, 필리핀등에 수출하고 있다”며 “곡물 사료보다 영양성분 면에서 (2.낫다/낳다)”고 말했다. 농산물 개방과 사료값 폭등으로 농민들의 시름이 깊지만" 위는 국어맞춤법 예를 들기 위해 인터넷 신문기사중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발음이 비슷하고, 생김새도 비슷하지만 쓰임이 다르고, 사람들이 자주 혼동하는 대표적인 예 중 하나입니다. 괄호 1번에는 '낳다', 2번에 '낫다' 가 바른 표기입니다. 그러면 이 둘의 차이점을 예문과 함께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낳다'는 '1. 배 속의 아이, 새끼, 알을 몸 밖으로 내놓다. 2. 어떤 결과를 이루거나 가져오다. 3. 어떤 환경이나 상황의 영향으로 어떤 인물이 나타나도록..
"용인시장 "난개발특위 백서 (1. 참고)해 친환경 생태도시 만들겠다" - 이에 용인시장은 "공직자들에게 난개발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한 것만으로도 난개발조사위는 대성공이었다"며 "위원들이 최선을 다해 만든 백서를 (2.참조)해 난개발 없는 친환경 생태도시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위는 어는 인터넷 신문기사에서 발췌한 실제 내용 그대로입니다. 괄호1, 2번에 들어간 우리말은 모두 바르게 쓰이고 있을까요? 문맥상 2번에 들어갈 바른 우리말은 '참고'가 어울린다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 둘의 차이점을 예문과 함께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참조(參照)는 '참고로 비교하고 대조하여 봄' 즉, 관련된 사항을 더불어 살펴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편, 참고(參考)는 '어떤 자료를 살펴서 도움이..
""한국이 더 안전해" 코로나19 (1. 상황/상태) 급변에 외인들 입국 추진 가속 - (2.상황/상태)이/가 달라졌다. 국내 코로나19 확산세에 캠프 후에도 외국에 머물렀던 KBO 외국인 선수들이 하나둘씩... 입국 단계부터 입국자 국내 연락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입국 후에도 14일간 건강을 모니터링 한다." 위는 어는 인터넷 신문기사에 발췌한 내용입니다. 괄호1, 2번에 들어갈 바른 표현은 무엇일까요? 정답은 1,2번 모두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두 우리말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먼저 상황(狀況)은 어떤 일이나 현상 따위가 이루어지거나 처해 있는 일정한 때의 모습이나 형편을 말합니다. 한편, 상태(狀態)는 1. 사물ㆍ현상이 놓여 있는 모양이나 형편. 2. 물리 자연 현상의 관측에 의하여 가능한 한 완..
"'리턴' 고현정, 진실 (1. 좇다/쫓다) 위험에 처할까 - SBS 수목드라마 ‘리턴’(극본 최경미, 연출 주동민)에서 고현정이 한은정을 죽인 범인을 (2. 쫓다/좇다) 위기에 처한다." 위는 어는 인터넷 신문기사에서 가져온 문장입니다. 위 기사 속 괄호1, 괄호2에 들어간 바른 우리말은 무엇일까요? 정답은 1번 좇다, 2번 쫓다 입니다. 그 차이점이 무엇인지 예문과 함께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좇다는 '1. 목표, 이상, 행복 따위를 추구하다. 2. 남의 말이나 뜻을 따르다. 3. 규칙이나 관습 따위를 지켜서 그대로 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편 쫓다는 '1. 어떤 대상을 잡거나 만나기 위하여 뒤를 급히 따르다. 2. 어떤 자리에서 떠나도록 몰다. 3. 밀려드는 졸음이나 잡념따위..
"제설 (1.한창)인데…현장지휘관 불러들인 청주시의회 - 올 겨울 들어 가장 많은 눈이 내린 17일 시의회가 제설작업에 (2.한참)인 각 구청 건설과장들을 출석시켜 빈축을 사고 있다. 치열한 전투 상황에서 지휘관을 현장에서 벗어나게 한 셈이다" 위 신문기사는 인터넷 검색으로 찾은 원문 내용입니다. 위 기사에서 괄호 1, 2번 중 바른 표현은 무엇일까요? 정답은 1번입니다. 유사한 발음으로 자주 혼동하는 대표적인 표현 중 하나입니다. 그 차이점을 예문과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한참'은 '시간이 상당히 지나는 동안'이라는 뜻입니다. 두 역참(驛站)사이의 거리를 가리키던 데서 유래한 말로 역참과 역참사이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그 사이를 오가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뜻으로 쓰던 말입니다. 한편, ..
'제일제강 “신일그룹 최대주주 아냐…보물선과 (1. 일절) 관계없어” - 보물선 사업과는 (2. 일체) 관계가 없다"라고 밝혔다. 제일제강 측은 "지난 7월 5일 제일제강의 최대주주는 최 씨, 류씨 개인들과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위는 어는 인터넷 신문기사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그런데 원래 기사에서 괄호1 에는 일절을, 괄호 2번에는 일체를 쓰고 있습니다. 맞게 쓰고 있는 걸까요? 두 표현은 같은 한자(一切)를 쓰지만 사용하는 경우가 다릅니다. 2번은 일절로 바꿔줘야 바른 우리말이 됩니다. 이 두 우리말의 차이를 예문과 함께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일체는 '1. 모든 것. 2. '전부' 또는 '완전히' 3. (부사) 모든 것을 다.'을 의..